미8군 제35방공포병여단에 신형 패트리어트 미사일인 ‘PAC-3 MSE’가 배치된 것으로 확인됐다. 군 관계자에 따르면 주한미군은 지난 2016년부터 PAC-3 MSE 미사일 배치를 조용히 진행해왔으며 올 들어 주요 미군 기지가 위치한 평택, 수원, 오산, 군산에 배치가 완료되고 있다고 전했다.
신형 날개와 이중 추진이 가능한 신형 추진체를 장착한 신형 패트리어트 미사일 PAC-3 MSE는 40km 이상의 고도에서 적 미사일을 요격한다. 사진=록히드마틴
미 육군 소속의 제35방공포병여단은 2개 대대가 한국에 전개하고 있다. PAC-2와 PAC-3 미사일을 혼합한 12개 포대를 운영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각 포대는 오산, 평택, 수원, 군산, 광주 등에 분산 배치되어 있다. 패트리어트 포대는 6개의 발사대로 구성되며, 발사대는 PAC-2 4기와 PAC-3 16발을 운영한다.
2016년 10월 16일 오산 미 공군기지에서 방한한 미 상원의원들에게 공개된 PAC-3 MSE 미사일. 사진=미 제35방공포병여단
그동안 주한미군은 PAC-3 MSE 미사일 배치를 진행하기 위해, 패트리어트 현대화 작업에 박차를 가해왔다. 2017년 8월 패트리어트의 제작사인 미 레이시온 관계자들이 참가한 가운데, 8개월간 최대 규모의 현대화 작업과 요원 숙련도 향상 훈련을 끝냈다고 미 육군이 발표했다. 또한 지난해 9월 에릭 패닝 당시 미 육군 장관은 ‘연합뉴스’와의 회견에서 주한미군에 PAC-3 MSE 배치할 가능성을 시사했다.
패트리어트에서 사용되는 PAC-3 미사일은 미사일에 직접 충돌해 파괴하는 미사일로 잘 알려져 있다. 주한미군에 배치된 PAC-3 MSE 미사일은 기존 PAC-3의 성능을 대폭 향상시킨 모델로 미사일의 사거리와 고도가 대폭 늘어났다. 신형 날개와 이중 추진이 가능한 신형 추진체를 장착한 PAC-3 MSE 미사일은 40km 이상의 고도에서 적 미사일을 요격한다. 기존 PAC-3는 20여km의 고도에서만 요격이 가능했다.
왼쪽의 PAC-3 MSE 미사일은 발사대에 12발이 장착된다. 사진=미 제35방공포병여단
신형은 기존 PAC-3에 비해 크기가 커지면서, 발사대에 장착되는 미사일의 개수는 소폭 줄어들었다. PAC-3 미사일이 발사대에 최대 16발의 미사일을 탑재했다면, PAC-3 MSE는 12발만 장착한다.
PAC-3 MSE의 배치로 주한미군의 미사일 방어능력이 대폭 향상될 것으로 보인다. 성주에 배치된 사드가 고도 40~150km 미사일 요격을 담당하고 40km 안팎에서는 PAC-3 MSE 재차 요격을 시도한다. 그 이하 고도에서는 PAC-2와 PAC-3 미사일이 사용된다. 즉 주한미군의 미사일 방어막이 한 층 두꺼워지게 된 것이다.
군산 미 공군기지의 미 패트리어트 포대도 PAC-3 MSE 미사일을 운용 중이다. 사진=미 제35방공포병여단
댓글
댓글 쓰기